현재 가지고 있는 월패드의 전원선이 없어 부팅을 하지 못했다. 직접 AS 센터에 물어보니 단지내에 직접 설치된 월패드면 AS가 불가능 하다고 해서 직접 만들어서 사용하기로 했다.
[사진 2] - 월패드
1. 제품 스팩 파악
월패드의 뒷면에 자세히 보면 정격 입력 DC 12V, 2.5A 를 사용하고 있었다
[사진 3] - 월패드 뒷면
고객 센터에서 직접 안내받아 회로도를 구할 수 있었고 확인해보니 CN500 PWR 부분에 전원이 인가 되어야 함을 알았다.
[사진 4] - 전원 인가 부분
2. 기자재 준비
솔더링에 필요한 기자재들을 준비해 보았다.
[사진 5] - 납땜에 필요한 도구
도구들을 조립하니 나름대로 구색이 나와서 만족스러웠다.
[사진 6] - 조립 완료된 모습
3. 충전기 준비
전원 인가에 사용할 충전기는 똑같이 정격 출력 12V 2.5A 짜리를 구매하여 사용하였다.
[사진 7] - 충전기
보면 끝이 월패드 충전부와 맞지 않아 잘라서 솔더링을 진행해야한다.
[사진 7] - 충전기 출력 부
4. 전선 +, - 구별 법
그리고 보통 충전선의 +, - 구별하는 방법인데 글씨가 적혀있는 곳이 + 부분이다. 이것을 주의해서 솔더링을 진행 해야 문제 없이 월패드에 전원을 인가 할 수 있다.
[사진 8] - +,= 구별
자른 후 군대에서 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피복도 깔끔하게 벗겨낼 수 있었다. 이럴땐 군대에서 경험이 도움이 되는 것 같다. 팁은 니퍼로 돌려가며 조금씩 피복을 자른 후 오른손 잡이 기준으로 니퍼를 오른손에 잡고 자른 부분 앞쪽을 적당한 세기로 잡고 당기면 피복만 깔끔하게 벗겨진다. 구리선이 약하기 때문에 조심히 진행해야 한다.
[사진 9] - 전선 피복 벗기기
5. 솔더링 전 준비
원활한 솔더링을 위해 월패드의 나사를 다 풀은뒤 껍데기 부분을 떼어냈다.
[사진 10] - 월패드 분해
아까 벗겨낸 구리선을 시계방향으로 돌돌 말은후에 +, - 를 구별하여 전원 부분에 직접 인가해 보았다. 이때 주의할점은 +, - 구리선이 절때 서로 붙어 있지 않게 해야한다 잘못하면 고장날 수도 있다.
[사진 11] - 직접 전원 인가
인가한 상태 그위치를 고정시켜 주기위해 테이프로 임시로 붙여둔 모습이다.
[사진 12] - 절연 테이프로 고정
월패드를 살짝 들고 전원 버튼을 ON 시켜 재대로 부팅이 되는지 확인한다. 부팅이 안되면 높은 확률로 +,-를 잘못 인가했을 수도 있고 아니면 전원부에 재대로 인가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.
[사진 13] - 전원 인가후 디스플레이
6. 솔더링
전원 인가 부분에 납땜을 해서 고정 시킨다. 고정 시킨후 정상적으로 작동이 되는지 한번 테스트를 해봐야 한다. 이때 주의할점은 납땜할때 +, - 부분이 붙어 버릴 시.... 디 솔더링을 통해 다시해야한다. 하지만 그러기 쉽지 않으니 조심해서 한번에 성공하도록 하자.
[사진 14] - 솔더링 후 사진
7. 솔더링 후 마무리
솔더링이 잘되었으면 절연 테이프로 +,- 중간에 테이프를 붙여서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한다. 그리고 단단하게 고정시켜 끊어지지 않도록 깔끔하게 처리한다.
[사진 15] - 솔더링 후 절연테이프 처리
덮개를 잘 조립한다. 필자는 덮개 부분을 일정 부분 절단하고 조립을 했다. 그리고 혹시 모를 충격(선이 당겨지면서 끊어짐)방지를 위해 옆에도 선을 절연테이프로 붙여서 잘 마무리 한다.